반응형 전체 글194 서울공예박물관 <자수, 꽃이 피다><보자기, 일상을 감싸다> 관람기 (전통 자수/보자기의 재해석과 현대 공예의 연결) - 실과 천으로 엮은 삶의 이야기 서울공예박물관은 전통 공예의 아름다움을 두 가지 기획전시를 통해 선보이고 있습니다. 전시는 2021년 7월부터 현재까지 전시 3동의 2층과 3층에서 상설전시로 열리고 있습니다. 두 전시 모두 무료로 관람 가능하며, 한국의 섬세한 손길이 만들어낸 자수와 보자기라는 전통 공예를 현대적 시선으로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닙니다. 자수는 여성의 감성과 정성으로 피어난 실의 예술이고, 보자기는 실용성과 심미성이 결합된 천의 문화로, 두 전시는 한국인의 일상과 정서를 동시에 느낄 수 있게 해 줍니다.꽃으로 수놓은 시대의 기억, 전시는 조선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손끝에서 탄생한 자수 공예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왕실의 복식에 쓰였던 자수 문양, 생활 속 소품으로 제작된 수저집, 주머니, 보자기.. 2025. 7. 2. 국립현대미술관 <게임사회> 전시 리뷰 (게임의 철학·문화·현실 반영) - 현대미술이 던진 묵직한 질문 '게임은 예술이 될 수 있는가?' 2023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개최된 특별전 ‘게임사회’는 디지털 게임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 현대 사회를 반영하고 해석하는 예술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조명했습니다. 전시는 2023년 4월 28일부터 9월 17일까지 진행됐으며, 장소는 서울 종로구 삼청로에 위치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이었습니다. 다양한 연령대의 관람객들이 몰리며 높은 관심을 끌었던 이 전시는 게임이 어떻게 동시대의 사회, 철학, 기술, 감정을 반영하는지를 탐구했습니다.게임과 사회의 접점: 미디어로서의 게임‘게임사회’ 전시의 첫 번째 큰 주제는 게임이 단지 소모되는 미디어가 아니라, 사회를 투영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매체라는 점이었습니다. 게임은 스토리텔링과 그래픽 기술을 통해 현실 세계의 구조, 권력, 계급, 감정, 정체성을 상징.. 2025. 7. 2. 롯데뮤지엄 <제이알: 크로니클스(JR: Chronicles)> 展 (거리예술·사진·사회참여) - 거리에서 미술관으로 들어온 기록의 예술 2023년 롯데뮤지엄에서 열린 전시는 거리 예술의 거장으로 불리는 프랑스 아티스트 제이알(JR)의 작품세계를 본격적으로 소개한 국내 최초 대형 전시였습니다. 전시 기간은 2023년 3월 2일부터 6월 18일까지였고, 장소는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7층에 위치한 롯데뮤지엄이었습니다. 입장료는 성인 기준 15,000원이었으며, 온라인 사전 예매 시 약간의 할인 혜택도 제공됐습니다. 제이알은 거대한 흑백 인물 사진을 도시 곳곳에 부착하며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업으로 주목받은 작가로, 이번 전시는 그가 어떻게 사진, 영상, 설치,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통해 세계와 소통해 왔는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제이알의 시작, 사진을 통해 세상을 말하다전시는 제이알의 작업 초창기인 ‘포토그래퍼 JR’ .. 2025. 7. 1. 대구미술관 <제22회 이인성미술상 수상자전 《유근택: 대화(Dialogue)》> 전시 리뷰 (수묵화의 재해석) 2022년 대구미술관에서 열린 제22회 이인성미술상 수상자전 《유근택: 대화(Dialogue)》는 한국 수묵화의 경계를 확장하는 작가 유근택의 작품세계를 집중 조명한 전시였습니다. 전시는 2022년 11월 15일부터 2023년 2월 26일까지 대구미술관 2전시실에서 진행됐으며, 입장료는 성인 기준 1,000원이었습니다. 이번 전시는 유근택 작가가 오랜 시간 축적해 온 회화적 실험과 그 결과물을 선보이는 자리로, 현대 수묵화가 어떻게 시대성과 사유를 품을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줬습니다. 회화, 설치, 영상 등 다양한 매체로 확장된 수묵화의 변주를 통해, 전시는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는 예술의 장을 마련했고 관람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유근택이라는 화가, 그리고 ‘대화’라는 주제유근택 작가는 1965년생으.. 2025. 7. 1. 이전 1 ··· 44 45 46 47 48 49 다음 반응형